본문 바로가기
골프

LIV골프 행사갔다 PGA투어 출전 정지된 '웨슬리 브라이언'

by Over-Joy 2025. 4. 18.
반응형

 LIV골프 행사갔다 PGA투어 출전 정지된 '웨슬리 브라이언'

더 듀얼스 : 마이애미(The Duels : Miami)

더 듀얼스 : 마이애미(사진출처.LIV골프 홈페이지)
더 듀얼스 : 마이애미(사진출처.LIV골프 홈페이지)

2005년 3월 말 미국 플로리다주 마이애미의 트럼프 내셔널 도널드 골프장에서 열린 골프 이벤트였던 <더 듀얼스 : 마이애미>는 LIV 골프가 후원하고, LIV 소속 선수들과 유명 골프 유튜버들이 함께 참여한 이벤트성 대회입니다.

더 듀얼스는 9홀 스크램블 형식의 친선 경기로 치러졌으며, 전통적인 골프 대회와는 다른 새로운 형식의 대회로 진행되었습니다.

2025년 3월 말, 마스터스 토너먼트 2주 전 개최
장소 : 트럼프 내셔널 도널드 골프장(미국 플로리다주 마이애미)

참가자 : LIV 골프 소속 선수 6명 & 골프 유튜버 6명, 총 12명
상금 : $250,000

  • 9홀 스크램블 : 2인으로 구성된 각 팀은 9홀 스크램블 형식으로 경기를 치러졌습니다. 스크램블에서는 팀의 두 선수가 티샷을 한 후, 가장 좋은 샷을 선택합니다. 그 지점에서 두 선수는 다음 샷을 치고, 이 과정은 공이 홀에 들어갈 때까지 계속됩니다.
  • 2인조 팀 6개 : 세르히오 가르시아(LIV골퍼)&조지 브라이언(콘텐츠 제작자) / 버바 왓슨(LIV골퍼)&루크 권(콘텐츠 크리에이터) / 호아킨 니만(LIV골퍼)&릭 쉴스(콘텐츠 제작자) / 필 믹켈슨(LIV 골퍼)&그랜트 호르바트(콘텐츠 제작자) / 더스틴 존슨(LIV 골퍼)&웨슬리 브라이언(콘텐츠 제작자) / 캐머런 스미스(LIV골퍼)&팻 페레즈(콘텐츠 제작자)

LIV 골프 행사 참여한 PGA투어 선수 웨슬리 브라이언 PGA 투어 출전 정지

LIV골프 행사이벤트 대회에 참가하여 PGA투어 출전정지를 당한 웨슬리 브라이언(사진출처.게티이미지 코리아)
LIV골프 행사이벤트 대회에 참가하여 PGA투어 출전정지를 당한 웨슬리 브라이언(사진출처.게티이미지 코리아)

한국시간 17일 '먼데이Q' 보도에 따르면 "PGA투어가 LIV골프 인플루언서 이벤트에 참가한 훼슬리 브라이언(미국)에게 출전 정지 처분을 내렸다"고 전했습니다.

세계 랭킹 242위인 브라이언은 2017년부터 PGA투어에서 활약했고, 현재까지 통산 134개 대회에 출전하였습니다. 데뷔 시즌에 RBC헤리티지에서 우승했으나, 한동안 부상과 드라이버 입스에 시달린 바 있습니다. 올해는 3개 대회에 출전해 단 한 차례 컷 통과해였으며, 1월 파머스 인슈어런스오픈에서 공동 25위를 기록한 게 시즌 베스트 성적입니다. 

웨슬리 브라이언은 최근 동생과 함께 유튜브 채널을 만들었으며, 선수로서는 입지가 약하지만 인플루언서로서는 유명세를 얻고 있기 때문에 브라이언은 지난 3월 LIV골프가 주최한 인플루언서 행사 '더 듀얼스 : 마이애미'에 참가한 바 있었습니다. 

웨슬리 브라이언은 LIV골프에서 활약하고 있는 세르히오 가르시아(스페인)와 팀을 이뤄 이번 대회에 우승을 차지하였습니다. 


인플루언서로 참가한 LIV골프 이벤트 골프 행사에 참여한 웨슬리 브라이언은 '더 듀얼스:마이애미'가 발표된 다음 날 PGA투어로부터 출전 정지 처분을 받았습니다.

PGA투어는 LIV골프 출범 이후 LIV골프에 출전하는 선수를 대상으로 영구 출전 정지 처분을 내리겠다고 발표한 바 있었습니다. 이 행사 이후 PGA투어는 유튜브 크리에이터 전원에게 "PGA투어와 연계된 콘텐츠 및 이벤트에서 배제될 수 있다"고 경고하였습니다.

이후, 대부분 크리에이터의 징계는 해제되었으나 브라이언은 유튜브에 영상을 업로드한 이후 정식으로 출전 정지 처분을 받게되었습니다. 브라이언은 최근까지 PGA투어에서 현역으로 활동한 선수이며, 이벤트 대회 직전 구두 경고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에 브라이언은 "더 듀얼스에 출전한 걸 후외하지 않는다. 그 영상은 유튜브 골프 역사상 가장 임팩트 있는 콘텐츠다"고 말했으며, 브라이언은 PGA투어 공식 이의제기 절차에 따를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반응형